블로그나 유튜브, 인포그래픽 등 각종 디자인 작업에 인터넷 웹사이트의 스크린샷을 사용해야 할 때가 종종 있습니다. 특정 웹페이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 때나, 사이트 사용법을 이미지로 정리할 때 주로 사용되는데요. 그 때마다 키보드의 PrtScn 버튼을 누르고 그림판이나 포토샵에다가 이미지를 붙여 넣어 수정하는 것도 번거롭고, 그렇다고 캡쳐를 위한 프로그램을 따로 설치하자니 그것마저 귀찮을 때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디자인 작업 하시는 분들이 많이 사용하는 사이트 화면 캡쳐 서비스를 하나 소개하려고 합니다. 웹페이지의 URL 하나만 있으면 쉽고 간편하게 화면을 캡쳐할 수 있어서 저도 블로그 글을 작성할 때 애용하는 사이트입니다.
웹사이트 스크린샷 찍는법
오늘 소개해드릴 사이트는 screen.guru (스크린구루)라는 사이트입니다. 웹사이트 화면을 캡쳐할 때마다 매번 이미지 크기 조절이나 편집으로 번거로웠는데, 이 사이트를 이용하면 배경화면을 포함한 깔끔한 목업 이미지를 손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screen.guru’를 사용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screen.guru 메인 페이지로 이동 후, 스크린샷을 하고자 하는 웹사이트의 주소만 입력하면 됩니다.
screen.guru 사용법
1 screen.guru로 이동합니다.
2‘Website URL’에 사이트 주소를 입력한 후, 우측의 ‘Create’ 버튼을 누르면 스크린샷이 생성됩니다.
3생성된 캡쳐 이미지 위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이미지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 옵션을 통해 컴퓨터에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생성되는 이미지의 크기는 1504×1018입니다.
참고! URL 입력 박스 하단에 보면 ‘Pick the background color’이라는 옵션이 있습니다. 이는, 스크린샷의 배경 색을 설정하는 옵션으로 원하는 바탕 색을 선택 할 수 있습니다. 배경 색상이 필요 없고 웹사이트만 캡처하고 싶다면, 우측의 ‘No background’를 선택하면 바탕 색상을 없앨 수 있습니다.
스크린샷 완료!
저는 네이버 메인 페이지로 배경 색상 옵션을 추가한 것과 없앤 것, 두 가지를 테스트 해봤는데요. 배경 색상과 더불어 브라우저 테두리 표현이나 그림자 효과까지 깔끔한 목업 이미지가 생성되었습니다. screen.guru를 통해 더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디자인 하세요!